코드 테라피

[파이썬초보탈출] Python - Booleans

밍키스튜디오 2023. 12. 6. 21:25
반응형

파이썬에서 불리언(Boolean)은 논리적 연산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TrueFalse 두 가지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불리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불리언(Boolean) 이란?
  2. 불리언 표현하기
  3. 불리언 연산(Boolean Operations)
  4. 불리언과 비교 연산자(Boolean and Comparison Operators)
  5. 불리언에서의 주의사항

    1. 불리언(Boolean) 이란?

불리언은 참(True)과 거짓(False) 두 가지 값을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이는 알고리즘을 작성하거나 조건을 검사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int(type(True)) # <class 'bool'>
print(type(False)) # <class 'bool'>

2. 불리언 표현하기

파이썬에서 불리언 값을 표현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True 또는 False를 사용하면 됩니다.

is_true = True
is_false = False

print(is_true) # True
print(is_false) # False

3. 불리언 연산(Boolean Operations)

파이썬에서는 and, or, not 등의 불리언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nt(True and False) # False
print(True or False) # True
print(not True) # False

4. 불리언과 비교 연산자(Boolean and Comparison Operators)

불리언은 비교 연산자와 함께 사용되어 조건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int(5 > 3) # True
print(5 < 3) # False
print(5 == 3) # False
print(5 != 3) # True

5. 불리언에서의 주의사항

불리언은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교 연산자 없이 단독으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파이썬에서는 0, 빈 문자열, 빈 리스트 등을 제외한 모든 값을 참으로 간주합니다.

print(bool(1)) # True
print(bool(0)) # False
print(bool("")) # False
print(bool("Hello")) # True

이상으로 파이썬의 불리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조건문을 작성하거나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할 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