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테라피
파이썬 초보 탈출: Python - 타입 캐스팅(Type Casting)
밍키스튜디오
2023. 11. 15. 07:32
반응형
목차
- 소개
- 암시적 타입 캐스팅
- 명시적 타입 캐스팅
- 타입 캐스팅의 활용 예시
1. 소개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로, 변수의 타입을 선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타입을 파악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변수의 타입을 직접 지정하거나, 다른 타입으로 변환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때 타입 캐스팅을 사용합니다.
2. 암시적 타입 캐스팅
암시적 타입 캐스팅은 파이썬이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정수와 실수를 더하면 파이썬은 자동으로 정수를 실수로 변환하여 연산을 수행합니다.
x = 10
y = 3.14
result = x + y # 암시적 타입 캐스팅 발생
print(result) # 출력: 13.14
3. 명시적 타입 캐스팅
명시적 타입 캐스팅은 개발자가 직접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이썬에서는 int()
, float()
, str()
등의 함수를 사용하여 타입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으로의 타입 캐스팅
x = 3.14
y = int(x) # 명시적 타입 캐스팅
print(y) # 출력: 3
실수형으로의 타입 캐스팅
x = 10
y = float(x) # 명시적 타입 캐스팅
print(y) # 출력: 10.0
문자열로의 타입 캐스팅
x = 123
y = str(x) # 명시적 타입 캐스팅
print(y) # 출력: "123"
반응형
4. 타입 캐스팅의 활용 예시
타입 캐스팅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숫자로 계산하고자 할 때, 문자열로 입력된 값을 숫자형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x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y = int(x) # 명시적 타입 캐스팅
result = y + 10
print(result)
위 예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10을 더한 후 출력하는 예시입니다.
반응형